E74점수계산무료상담

E-9 비자에서 E-7-4 비자로 변경이 수도권은 안되?




1. E-9에서 E-7-4 비자로 변경이 가능할까?

현재 경기도 지역 공단에서 3년째 근무 중이며, E9 비자에서 E-7-4 비자로 변경할 수 있는지 궁금해하는 외국인 근로자가 많습니다. 법무부 지침을 검토해 본 결과, 수도권에서 취업 중이라면 E-7-4 비자 변경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2. E-7-4 비자 변경 요건

E-7-4 비자는 숙련기능을 갖춘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에서 장기적으로 체류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비자입니다. 변경을 위해서는 아래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최근 10년 이내 E-9 비자로 4년 이상 체류
  2. 현재 1년 이상 근무 중인 사업장의 추천서 필수
  3. 숙련점수(점수제) 요건 충족

추가적으로, 체류 기간 동안 범법 행위가 없어야 하며, 특정 산업별 고용 허용 인원 제한도 고려해야 합니다. 신청자의 직종과 경력에 따라 필요 서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일부 업종은 우선 심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조건이 있습니다.

–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에서 근무하는 경우, E-7-4 비자로 변경이 제한됨.

3. 수도권 취업자의 경우 E-7-4 변경은 불가능할까?

현재 수도권에서 근무 중이라면 E-7-4 변경이 어렵습니다. 이는 비전문취업(E-9) 인력이 수도권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 때문입니다. 출입국·외국인청에서는 수도권 근로자의 신청을 제한하고 있으며,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E-9 비자 소지자는 지방으로 이직 후 일정 기간이 지나야 신청할 수 있습니다.

4. 가능한 대안

  1. E-9 비자 연장 (최대 4년 10개월까지 가능)
  2. 수도권 외 지역으로 이직 후 E-7-4 신청
  3. F-2-6 장기거주 비자 또는 결혼이민(F-6) 비자 검토
  4. 국적 취득도 장기적인 대안

E-9 비자는 기본적으로 3년 체류 후 1년 10개월까지 연장이 가능하므로, 우선 비자 연장을 통해 더 많은 선택지를 고려할 시간을 벌 수 있습니다. 또한, F-2-6 장기거주 비자는 일정 수준의 소득 및 한국어 능력을 갖춘 경우 신청할 수 있으며, 이후 E-7-4로 전환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결혼이민(F-6) 비자는 한국인 배우자가 있는 경우 신청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체류 자격을 확보하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한국에 거주하고 싶다면 귀화도 고려할 수 있으며, 국적 취득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5. 결론: 수도권 취업자의 대안은?

현재 수도권에서 E-7-4 비자로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수도권이 아닌 지역으로 이직 후 다시 신청하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입니다.

그 외에도 E-9 비자 연장, 장기거주 비자 신청, 결혼이민 비자 신청 등의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각각의 방법에 대한 상세한 상담이 필요하다면?

1:1 상담게시판에서 문의하세요.